안녕하세요, 오늘은 "시가총액"이라는 용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시가총액은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개별 기업의 규모와 가치를 나타내는데 도움을 줍니다.
초보자들은 시가총액 1000억 미만은 쳐다도 보지 말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바로 기업의 가치가 적고, 돈이 많은 한 사람에 의해서 기업의 가치가 좌지우지 될 수 있으니
초보투자자들은 웬만하면 투자를 피하라는 거지요.
기본적인 용어를 알고 투자를 하면 그나마 리스크를 피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이 글에서는 시가총액의 의미와 중요성을 다루고,
코스피와 코스닥에서의 상위 종목 순위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
시가총액이란?
시가총액이란 주식 시장에서 상장된 회사의 가치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기업(종목)별 시가총액
개별 기업의 시가총액은 해당 기업이 상장한 모든 주식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를 계산할 때에는 주가를 그 기업의 총 발행 주식 수(보통주와 우선주를 합친 값)와 곱하여 구합니다. 예를 들어, A 기업의 주가가 1만 원이고, 해당 기업의 총 발행 주식 수가 5천만 주라면,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10,000 * 50,000,000 = 500,000,000,000이 될 것입니다.
삼성전자를 예시로 들면
5,969,782,550(총 주식수) x 68,000(주가) = 405조 9452억(시가 총액)
증권시장 전체의 시가총액
한 국가의 증권거래 시장에서 상장된 모든 기업의 주식 가치를 합산한 값은 그 국가의 증시 규모를 나타내는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이는 개별 기업의 시가총액을 모두 더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코스피와 코스닥의 상위 종목을 통해 시가총액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부동의 1위이며, 코스닥 시장에서는 에코프로비엠가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순위를 통해 주식 시장에서 어떤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주식 투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식의 유동성 측면에서, 1주당 가격이 높다고 해서 그 기업이 무조건 가치가 크다는 것은 아닙니다. 시가총액을 통해 그 기업의 전체 가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가총액이 큰 기업은 투자자들로부터 높은 신뢰도와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많은 투자자들이 그 기업을 주목하게 됩니다.
그러나, 시가총액만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것은 부족합니다.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며, 기업의 실적과 섹터 전망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시가총액은 주식 시장에서 기업의 규모와 가치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어떤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투자 결정을 내릴 때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시가총액만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것은 부족하며,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주식 시장에서 투자를 고려할 때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위험이 적고,
다양한 종목들을 망라한 ETF에 투자하는 것이 위험성이 더 낮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LTW 장기 투자 결과(높은 배당률 커버드콜에 속지 마세요.) (4) | 2024.10.19 |
---|---|
미국 금리 인상,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0) | 2022.12.15 |
부동산 하락기,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를 째려보자. (0) | 2022.12.14 |
댓글